바로가기 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태극기이 누리집은 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
공식 누리집 주소 확인하기
go.kr 주소를 사용하는 누리집은 대한민국 정부기관이 관리하는 누리집입니다.
이밖에 or.kr 또는 .kr등 다른 도메인 주소를 사용하고 있다면 아래 URL에서 도메인 주소를 확인해 보세요
운영중인 공식 누리집보기
  1. 화면크기
  2. 국가상징
  3. 어린이·청소년
  4. RSS
  5. ENGLISH

외교부

관련자료

외교정책
  1. 홈으로 이동 홈으로 이동
  2. 외교정책
  3. 국제기구·지역협력체
  4. 국제연합(UN)
  5. 관련자료
글자크기

[UN일반] 대한민국, 유엔 안보리 9월 의장국으로서 국제 평화·안보 리더십 발휘

부서명
유엔과
작성일
2025-10-01
조회수
62

  우리나라는 9월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국 수임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2024-25년 임기 안보리 이사국을 수임 중인 우리나라는 지난해 6월에 이어 두 번째로 안보리 의장직을 수임했다.


※ 안보리 의장직은 이사국의 영문 국명(알파벳) 순으로 한달씩 수임 / 우리는 2024-25년 임기 안보리 이사국을 수임하면서, 2024.6월과 2025.9월 두차례 의장국 수임


※ 제80차 유엔총회 고위급회기 일정 : 9.23.(화)-27.(토), 9.29.(월)


  우선, 의장국 대표행사로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 하 ‘인공지능과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한 공개토의(Open Debate)를 9.24.(수) 개최했다. 이는 대한민국 대통령으로서는 최초로 안보리 회의를 주재한 사례이다. 이 대통령은  이번 공개토의에서 ‘평화, 안보, 그리고 인류를 위한 AI’라는 메시지를 발신하고, 그간 군사분야 AI 논의에서 우리나라의 기여를 소개하였다. 이 회의에는 사흘에 걸쳐 정상급 인사들을 포함하여 유엔 회원국과 유관 국제기구 대표 등 총 83명이 발언하는 등 AI 시대 국제안보환경 하에서 안보리의 역할에 대한 국제사회의 높은 관심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9.23.(화)에는 조현 외교장관 주재로 중동과 우크라이나에 대한 안보리 고위급 브리핑 공식회의(briefing)를 연이어 개최했다. 중동과 우크라이나의 정세가 심각해져 가는 상황에서 개최된 이 회의들은 국제사회 최대 안보 현안을 논의하는 데 있어 우리나라의 책임 있는 역할과 기여 의지를 잘 보여준 계기였다.


  한편, 우리는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유엔의 평화유지 및 평화구축 논의를 중점의제 중 하나로 추진하고 있는 만큼, 유엔 평화활동(PKO 포함)에 대한 공개토의를 9.9.(화) 개최했다. 이 공개토의는 유엔 평화활동이 엄중한 개혁의 과제에 당면한 시점에서 유엔 회원국 전반의 광범위한 의견을 듣고 지혜를 모으는 기회가 되었다. 또한, 안보리 의장국으로서 예멘, 민주콩고, 아프가니스탄 등 관련 회의를 개최하여 해당 지역의 평화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주도적으로 모색했으며, 이사국들과의 긴밀한 협의하에 국제사회 주요 현안 중 하나인 안보리의 이란 제재 복원 관련 절차를 진행했다. 그 외에도 유엔 회원국 및 안보리 이사국 요청에 따라 카타르, 폴란드, 에스토니아 관련 지역 평화·안보 문제 논의를 위한 브리핑 공식회의(briefing)를 주재했다.


  아울러, 우리 정부는 9월 한 달간 수단 제재 연장(9.12.), 이라크와 쿠웨이트 실종자 문제 후속 메커니즘(9.17.), 아이티 다국적안보지원임무단의 갱단진압군 전환 승인(9.30.)에 대한 안보리 결의 3건의 채택을 주도했다.


  우리 정부는 전 세계 정상급 인사들이 뉴욕에 모이는 유엔총회 고위급회기가 개최되는 9월에 안보리 의장국을 수임하게 되어, 정상과 외교장관 등 고위급 인사들이 다수 참석한 가운데 국제 평화와 안보 증진을 위한 논의를 적극적으로 주도함으로써, 다자외교 리더십을 한층 더 제고했다.


  우리 정부는 남은 임기 동안에도 유엔 안보리 이사국으로서 국제평화와 안보를 위협하는 글로벌 현안 대응에 있어 필요한 역할을 수행하면서,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위상을 제고해 나갈 것이다.  끝.

만족도 조사 열람하신 정보에 대해 만족하십니까?
메뉴담당부서
유엔과
전화
02-2100-7243